1. 바샤르 알 아사드의 외교 노선
2024년 11월 말부터 시작된 반군의 공세가 강화되면서 시리아의 주요 도시들이 함락당하면서 미래가 불분명해졌다. 그러다가 수도 다마스쿠스가 함락되고 시리아 정부가 붕괴되면서 그는 러시아로 망명하게 되었다. 본래 바샤르 알 아사드는 처음부터 친러, 친이란 성향을 갖고 있던 인물이 아니었고 친서방주의였으며 그의 부인 또한 영국 국적을 가진 이중국적자였다. 그는 과거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과 만나기도 했으며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당시 프랑스 대통령들과 정상회담을 하기도 하며 과거 식민지 종주국이었던 프랑스와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는 미국과의 외교 노선도 마찬가지였다. 아사드는 미국과도 친미를 하기 위한 외교 정책을 취했으나 당시에 여러 이유들이 겹치면서 크게 성과를 내지 못했다. 더불어 1990년대 미국은 사담 후세인이 통치하는 이라크에 대해 경제 재제를 하고 있었는데 시리아는 대 이라크 무역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미국과 서방은 이라크에 대한 경제제재의 실효성이 낮아진다면서 바샤르 알 아사드 취임 이후에 항의했으나 시리아 입장에서는 이라크와의 경제적 이익이 걸린 무역을 줄일 수 없었다.
9.11 테러가 발생한 이후 시리아의 정보기관들은 알 카에다와 지하디스트들에 관련 정보를 미국에 적극적으로 제공하면서 협력했고 이라크와의 국경 관리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있었지만 CIA가 좋은 평가들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계는 시리아에 대해 불만스러운 발언을 쏟아내게 된다. 2003년 101공수사단장 데이비드 페트라우스와의 협력 이후로 지속적으로 이어진 요르단-시리아의 국경 관리에 대해 미국 군부는 호평을 하였으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알 아사드 대통령에 대한 불만이 많았으며 2007년 이라크 안보를 위한 주변국 회의에서 시리아도 출석했다. 더불어 알카에다가 100여 회의 자폭 공격을 국경 초소에 시도했음을 토로하였으며 외교 대표단에게 자국의 국경을 시찰 할 수 있게 허용하였고 시찰단이 국경의 관리에 대해 호평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계는 계속해서 불만을 쏟아내면서 시리아를 적대했다. 이는 시리아 정부가 근본적으로 친 이란, 친 러시아, 친 하마스 및 헤즈볼라, 반 이스라엘이라는 외교 기조를 버리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요인이었다.
특히 미국은 시리아가 헤즈볼라에 계속해서 자금과 무기를 지원하는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가졌으며 시리아를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시리아도 외교와 첩보에서 미국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는데도 시리아의 외교적 처지를 이해해주지 못하고 무조건적으로 미국의 방침에 따라줄 것만 바라는 미국 정계에 실망하고는 미국과의 협력을 중단하였고 알 아사드는 친서방에서 친러, 친이란으로 외교 기조를 바꾸게 된다. 그러자 미국은 시리아가 핵 개발을 한다며 비난의 자세를 높이게 되었는데 시라아가 핵 개발을 한다는 근거에는 사실 어디에도 없었다. 결국 이스라엘은 2007년 9월 미국이 시리아의 핵 시설이라 주장하는 알 키바르의 건물을 폭격하면서 양국의 관계는 소원해졌고, 이러한 이스라엘의 공격은 미국의 사주로 의심되었었다. 최근 완전히 시리아의 입장에서 소위 친서방, 친이스라엘 노선으로 갈아탄 터키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원래부터 그다지 좋은 사이는 아니었다.
특히 하타이 주를 둘러싼 영토 분쟁과 더불어 특히 시리아의 농업의 생명수나 마찬가지인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의 수자원을 터키가 통제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리아는 농업 생산력 및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었다. 게다가 시리아는 전통적으로 쿠르드족 극단주의 세력은 PKK, 그 수장인 압둘라 외잘란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런 문제로 인해 1990년대 양국은 군사적 긴장 상태를 유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레제프 에르도안 총리가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 그의 친아랍, 반이스라엘 정책으로 인하여 시리아의 외교는 급격한 정치, 경제적인 부분에서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의 수자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게 되었다. 2004년 1월 바샤르 알 아사드는 터키에 공식적으로 방문하여 정부 각료들과 회담하고 긴장관계를 크게 완화시켰다. 군사 합동 훈련과 국경지대 지뢰 제거에 대한 협력이 이루어졌고 FTA 체결 등으로 인해 터키의 질 좋은 농산물과 축산물이 시리아로 대거 유입되었다.
바샤르 알 아사드는 아랍 국가들이 혹시라도 배신할 가능성을 우려해 새로운 경제 정치적 공동체를 구상하였던 것이 터키, 아제르바이잔 등의 투르크계 라인과 친해지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알 아사드는 지중해, 흑해, 카스피해, 페르시아만을 아우르는 사해 공동체를 구상하여 내전이 발발하기 전까지만 해도 시리아는 장밋빛 미래를 꿈꾸고 있었다. 이는 시리아, 이란, 터키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통해 경제 정치적인 발전과 안전망을 구축하려는 시도 중 하나였다. 2009년 10월에는 터키와 고위급 전략회의를 통해 비자 면제 협정이 체결되었고 또 2010년 5월 터키 소속 가자지구에 지원하는 지원 선박을 이스라엘이 격침시키자 터키는 이스라엘과의 군사 협력을 중지함으로 인해 시리아와의 관계는 매우 밀접해졌다. 그러나 아랍의 봄이 발생하고 시리아에서 내전이 벌어지면서 상황은 악화되었다. 아랍의 봄의 영향으로 2011년 1월부터 산발적으로 시위가 벌어지고 있었는데 이는 아랍의 봄 당시 존재했던 색깔 혁명의 여파로 집단 서방이 대중들의 어려운 현실을 파고 들어 아사드 정권을 뒤엎으려 시도했다.
그것이 13년이 지난 현재에도 계속 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집단서방의 지원을 받는 반군보다 무력이 약했던 시리아 정부군이 13년 동안 버티고 있었던 것도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 그리고 결정적으로 반서방, 반이스라엘의 기조를 내세웠던 터키가 비록 정부군 지원을 하지 않고 있었지만 어느 정도 중립을 유지한 덕택이었다. 터키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던 HTS 세력과 이들리브에 진입한 일부 터키군이 아니었다면 아사드 측이 유리한 형세를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터키의 배신과 같은 상황으로 시리아 정부군의 전선은 삽시간에 무너져버렸다. 그렇다면 중간에서 집단서방과 아사드, 러시아, 이란의 사이에서 이익을 추구하려는 터키가 갑자기 집단서방으로 턴힐한 이유는 무엇일까?
2. 터키의 배신과 에르도안의 완벽한 신의 한 수?
1923년 10월 29일 터키 공화국이 건국된 이후, 터키 내 고질적인 문제는 쿠르드족의 처우였다. 이는 공화국이 세워진 100년전부터 지금까지 해결되지 못한 난제였다. 터키 동부 지역의 대다수 인구를 차지하고 있는 쿠르드족은 투크르인들에게 위협적이었고, 쿠르드족은 자신들의 영내에 있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의 통제권을 얻어 메소포타미아 북부를 장악하고 독립국가를 세우려고 했다. 그러다가 PKK가 나타나면서 터키를 국제정치의 지렛대로 이용하고 싶어한 소련이 PKK를 적극 지원했다. 두 종족은 100년 동안 끊임없이 싸웠고 이라크의 PKK, 시리아의 로자바까지 단체를 만들며 끊임없이 터키를 괴롭혔다. 이라크의 PKK는 티그리스 북부 강변을 중심으로 활동했고 로자바는 이들리브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문제는 시리아의 아사드 정부가 로자바나 쿠르드족에 대해 매우 관용적이었다는 것에 있다. 아사드는 2011년 3월 29일 무함마드 알 오타리 총리의 내각을 퇴진시키고 4월 16일 신규 내각을 조직하면서 더 확대된 민주화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무국적자 취급당하며 차별대우를 받고 있던 쿠르드족에 대한 시민권의 무조건 부여, 비상사태법의 완전한 폐지, 국민과의 소통 강화 및 부정부패 척결을 약속했다. 이는 터키 입장에서 볼 때 화가 날 법한 조치였다. 쿠르드족에 대한 시민권의 무조건 부여 조항에는 로자바나 PKK도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이스탄불 내에서 테러를 저지르고 하타이 주와 가지안테프 주, 마르딘 주 일대를 공격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여 터키 국민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로자바나 PKK에게도 시리아 국적을 부여한다는 것은 시리아 국적을 받은 그들이 살해되기라도 하면 시리아 국적자들이기 때문에 터키와 정치적인 대립 및 국제 분쟁은 뻔한 일이었다. 그저 단순히 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을 공적으로 만들어 놓으니 이들이 설치고 다녀도 터키가 시리아에 전쟁을 선포하지 않은 이상, 함부로 처리할 수 없었다. 터키의 불만은 이미 이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로도 13년이 넘도록 시리아 정부는 PKK나 로자바의 처리 문제에 대해서는 매우 미온적이었다.
게다가 시리아만 그런 것이 아니다. 이라크도 마찬가지였다. PKK를 처리하기 위해 올 5월에 외무장관끼리 회동까지 열고 합의까지 보았지만 터키군은 합의대로 이라크 국경을 넘지 못했다. 이는 이라크가 돌연 합의를 취소했기 때문이다. 에르도안 또한 아랍의 배신, 시아파가 배신했다하며 치를 떨고 있을 것은 분명했다. 이후부터 에르도안은 이스라엘과 만나고 서방과 접촉했을 것이다. 특히 이스라엘과 만난 것은 어쩌면 신의 한 수라는 생각이든다. 러시아 자국민 관료의 상당수가 유태인이라는 것을 감안하고 러시아 국민들이 상당수가 이스라엘과 관계가 깊고, 러시아계 유태인들 다수가 이스라엘에 거주 중이라는 것을 본다면 제 아무리 러시아라고 해도 유태인들을 어쩌지 못한다. 이건 아주 중요한 팩트이면서 동시에 러시아가 중동에 세력을 투사하고 있고 확장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 또한 이스라엘과 유태인이다. 그리고 러시아의 정, 경제계 상당수를 쥐고 있는 자들 또한 유태인들이다. 러시아는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계 유태인들이 이탈하면 경제는 폭망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렇기에 러시아의 반발을 막고 집단서방까지 등에 업으며 나름의 명분을 구축하는 완벽한 전략적 한 수를 둔 셈이다.
3. 러시아와 이란이 아사드 정권이 무너져도 힘을 못 쓴 이유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는 아사드의 시리아이기에 단순히 터키의 지원과 개입이 있더라도 수도인 다마스쿠스가 쉽게 무너질 것이라고는 아무도 상상을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을 뚫고 결국 아사드 정권은 붕괴되었다. 러시아의 실존적 이익은 터키에 있지 시리아가 아니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시리아는 얼마든지 버릴 수 있지만 터키는 절대로 버릴 수 없는 나라다. 그 이유는 바로 흑해를 빠져나가는 보스포루스 해협에 있다. 터키는 지정학적으로 러시아와 집단서방, 중동 전역 전체를 뒤흔들 정도의 천혜 요새인 보스포루스 해협을 영유하고 있는 나라다. 그리고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이다. 흑해를 가로질러 유럽과 아시아를 이어주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과해야 제3국을 갈 수 있다. 1936년에 체결된 몽트레 조약은 민간 상선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지만 터키의 안보에 위협이 된다 판단할 때, 해협을 봉쇄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따라서 이 해협이 봉쇄되면 전쟁으로 인해 제재를 가하고 있는 유럽 땅으로 넘어가지 못하는 러시아 상선들은 발이 묶이게 되는 것이고 이는 러시아 수출입 경제에 치명적인 타격이 될 수 있다. 터키가 반군을 지원하고 HTS를 지원하며 참전한다해도 러시아가 터키를 건드리기 어려운 이유가 이 때문이다. 그러는 상황에서 시리아 정부에 대한 지원이 점차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는 터키의 배신을 이미 사전에 알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겉으로야 경고는 하겠지만 그 이상은 어쩌지 못하는게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치르고 있는 러시아의 현실이다. 푸틴 대통령이 북극항로에 목을 매는 이유가 또 여기에 있다. 흑해를 가로질러 보스포루스로 빠져나가는 항로의 대체수단으로도 북극항로가 자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러시아가 지원을 대폭 줄인 이상, 이란이 시리아에 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하기 어렵다. 이미 레바논의 헤즈볼라에게 지원해주고 있으며 하마스와 예멘 후티에게까지 지원하느라 시리아에 대한 지원량을 더 늘릴 수도 없다.
이미 큰 손인 러시아가 줄인 마당에 이란이 시리아에 목을 맨다면 오히려 경제적으로 파탄 날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런 가운데 이란의 지원도 약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고, 나토의 큰 손 중 하나인 터키의 지원을 받는 테러단체들과 반군들이 공격해 온다면 시리아 정부군이 승리할 방법은 없다. 결국 다마스쿠스가 함락되었고 레바논의 헤즈볼라와 하마스는 배후를 위협받게 되었다. 이쯤되면 헤즈볼라와 하마스는 남북으로 포위된 형국이 된 것이다. 여태까지 헤즈볼라가 버텨온 것은 시리아의 아사드 정부와 시리아를 통한 이란의 지원이 있었기 때문인데 이제 이마저 끊긴 셈이니 이제는 헤즈볼라와 하마스가 기존처럼 오래 버티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헤즈볼라에게 남은 시간은 40여 일 남짓이다. 이스라엘과 60일 휴전이 조인되어진 상황에서 40여 일 동안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 깊어질 시간이다.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헤즈볼라와 하마스는 비참한 운명을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end of the Syrian al-Assad regime
Columnist Gil-seon Jeong
1. Bashar al-Assad's diplomatic policy
As the rebel offensive intensified in late November 2024, major cities in Syria fell, making the future unclear. Then, when the capital Damascus fell and the Syrian government collapsed, he went into exile in Russia. Originally, Bashar al-Assad was not a person with pro-Russian or pro-Iranian tendencies from the beginning, but was pro-Western, and his wife was also a dual citizen of the United Kingdom. He met with Queen Elizabeth II of England in the past and held summits with then-French Presidents Jacques Chirac and Nicolas Sarkozy, seeking to improve relations with France, a former colonial power. The same goes for his diplomatic policy with the United States. Assad adopted a diplomatic policy to be pro-American with the United States, but at the time, due to various overlapping reasons, he did not achieve significant results. In addition, in the 1990s, the United States imposed economic sanctions on Iraq under Saddam Hussein, while Syria was trading with Iraq. Therefore,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protested after Bashar al-Assad took office, say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economic sanctions against Iraq was reduced, but from Syria's perspective, it was impossible to reduce trade with Iraq, which was economically beneficial.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s, Syria's intelligence agencies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United States b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l Qaeda and jihadists, and they also had a great interest in border management with Iraq, but despite the CIA's positive evaluations, the American political world began to make dissatisfied remarks about Syria. The US military praised the Jordan-Syria border management that continued after the cooperation with the 101st Airborne Division commander David Petraeus in 2003, but President George W. Bush was dissatisfied with President al-Assad, and Syria also attended the 2007 meeting of neighboring countries on Iraq's security. In addition, despite confessing that Al Qaeda had attempted over 100 suicide bombings at border posts and allowing diplomatic delegations to inspect their borders, and the inspection team praising the management of the borders, the American political community continued to express discontent and hostility toward Syria. The biggest factor was that the Syrian government did not fundamentally abandon its diplomatic stance of being pro-Iran, pro-Russia, pro-Hamas and Hezbollah, and anti-Israel. In particular, the United States was strongly dissatisfied with Syria’s continued financial and weapon support for Hezbollah, and even designated Syria as a state sponsor of terrorism. Syria also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United States in diplomacy and intelligence, but was disappointed in the American political community, which failed to understand Syria’s diplomatic position and only expected it to unconditionally follow American policy, and stopped cooperating with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Assad changed his diplomatic stance from being pro-Western to pro-Russian and pro-Iran. In response, the United States began to criticize Syria for developing nuclear weapons, but there was no evidence that Syria was developing nuclear weapons. In the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me estranged when Israel bombed the building in Al Kibar, which the United States claimed to be a Syrian nuclear facility, in September 2007, and this Israeli attack was suspected to have been instigated by the United States. The relationship with Turkey, which has recently completely changed from a Syrian perspective to a so-called pro-Western, pro-Israel line, was not very good to begin with.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territorial dispute surrounding Hatay Province, Turkey controlled the water resources of the Tigris and Euphrates Rivers, which were the lifeblood of Syrian agriculture, so Syria was facing very critical problems in terms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industry. In addition, Syria traditionally maintained good relations with the Kurdish extremist group PKK and its leader Abdullah Ocalan. Therefore, due to such issues, the two countries maintained a state of military tension in the 1990s. However, after Prime Minister Recep Erdogan took office as president, Syrian diplomacy began to harbor hopes that the water resource problem of the Tigris and Euphrates could be solved in a radical political and economic way due to his pro-Arab and anti-Israeli policies. In January 2004, Bashar al-Assad made an official visit to Turkey, met with government ministers, and greatly eased tensions. Cooperation was carried out in joint military exercises and border demining, and the signing of FTAs led to a large influx of high-quality Turkish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nto Syria. Bashar al-Assad was concerned that Arab countries might betray him, so he envisioned a new economic and political community, which involved becoming friendly with Turkic countries such as Turkey and Azerbaijan. Meanwhile, al-Assad envisioned a Dead Sea Community encompassing the Mediterranean, Black Sea, Caspian Sea, and Persian Gulf, and Syria dreamed of a rosy future until the civil war broke out. This was one of the attempts to build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and a safety net through the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Syria, Iran, and Turkey. In October 2009, a visa waiver agreement was signed with Turkey through a high-level strategic meeting, and in May 2010, Turkey suspended military cooperation with Israel after Israel sank a support ship that was supporting the Gaza Strip under Turkish control, making relations with Syria very close. However, the situation worsened as the Arab Spring broke out and a civil war broke out in Syria. As a result of the Arab Spring, sporadic protests began in January 2011, and this was an aftermath of the color revolutions that existed during the Arab Spring, in which the West attempted to overthrow the Assad regime by exploiting the difficult reality of the masses.
This continues to this day, 13 years later. The fact that the Syrian government, which was weaker than the rebels support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West, was able to hold out for 13 years was also due to the support of Russia and Iran, and, crucially, to Turkey, which had an anti-Western and anti-Israel stance, maintaining a certain degree of neutrality, although it did not support the government forces. If it weren’t for the HTS forces supported by the Turkish government and some Turkish troops entering Idlib, Assad’s side would have had an advantageous position. However, due to Turkey’s betrayal, the Syrian government forces’ frontline collapsed in an instant. Then, why did Turkey, which was trying to pursue its interests between the West, Assad, Russia, and Iran, suddenly turn to the West?
2. Turkey’s betrayal and Erdogan’s perfect stroke of geniu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Turkey on October 29, 1923, the treatment of the Kurds has been a chronic problem in Turkey. This has been a difficult problem that has not been resolv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100 years ago. The Kurd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in eastern Turkey, were a threat to the Turks, and the Kurds wanted to gain control of the Euphrates and Tigris rivers within their territory, take over northern Mesopotamia, and establish an independent state. Then, when the PKK appeared, the Soviet Union, which wanted to use Turkey as a lever in international politics, actively supported the PKK. The two tribes fought for 100 years and created groups such as the PKK in Iraq and Rojava in Syria, constantly harassing Turkey. The PKK in Iraq was active around the northern Tigris River, and Rojava was active around Idlib. The problem was that the Assad government in Syria was very tolerant of the Rojava Kurds. On March 29, 2011, Assad ousted Prime Minister Mohammed al-Otari’s cabinet and formed a new cabinet on April 16, presenting a more extensive democratic reform plan.
He promised to grant unconditional citizenship to the Kurds, who were being treated as stateless and discriminated against, the complete abolition of the emergency law,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and eradicate corruption. This was an infuriating measure from Turkey’s perspective. This is because the provision for unconditional granting of citizenship to the Kurds also includes Rojava and the PKK. Granting Syrian citizenship to Rojava and the PKK, which committed terrorism in Istanbul and attacked Hatay, Gaziantep, and Mardin provinces, creating an atmosphere of fear and threatening the lives of Turkish citizens, was a sure thing that if they were killed after receiving Syrian citizenship, they would be Syrian citizens, and there would be political conflict and international conflict with Turkey. Since they simply made matters that could be dealt with privately public, they could not be dealt with carelessly unless Turkey declared war on Syria. Turkey’s discontent seems to have already begun at this time. Since then, the Syrian government has been very lukewarm about dealing with the PKK and Rojava for over 13 years.
And it’s not just Syria. Iraq was the same. In May of this year, foreign ministers met and reached an agreement to deal with the PKK, but the Turkish army was unable to cross the Iraqi border as agreed. This was because Iraq suddenly canceled the agreement. Erdogan must have been trembling, saying that the Arabs and the Shiites betrayed him. Since then, Erdogan must have met with Israel and made contact with the West. In particular, his meeting with Israel may have been a stroke of genius. Considering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Russian civil servants are Jewish, an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Russian citizens have close ties to Israel, and that a large number of Russian Jews reside in Israel, no matter how much Russia is, it cannot do anything about the Jews. This is a very important fact, but at the same time, the biggest obstacle to Russia's power projection and expansion in the Middle East is Israel and the Jews. And the people who control a significant portion of Russia's political and economic circles are also Jews. In this situation, if Russian Jews leave, Russia's economy will inevitably collapse. Therefore, it is a perfect strategic move to block Russia's backlash, rely on the West, and establish its own justification. 3. Why Russia and Iran were powerless even after the Assad regime collapsed
No one could have imagined that the capital Damascus would collapse easily even with Turkey's support and intervention, since Assad's Syria was supported by Russia and Iran. However, the Assad regime eventually collapsed despite the support of Russia and Iran. Russia's existential interests lie in Turkey, not Syria. From Russia's perspective, Syria is something that can be abandoned at any time.
Turkey is a country that can never be abandoned. The reason is the Bosphorus Strait that flows out of the Black Sea. Turkey is a country that owns the Bosphorus Strait, a natural fortress that can shake Russia, the Western group, and the entire Middle East. And Russia is at war with Ukraine. You have to pass through the Bosphorus Strait, which connects Europe and Asia across the Black Sea, to go to a third country. The Montréal Treaty signed in 1936 allows civilian merchant ships to pass freely, but Turkey has the authority to block the strait if it judges that it poses a threat to its security.
Therefore, if this strait is blocked, Russian merchant ships that cannot pass to European lands that are under sanctions due to the war will be tied up, and this could be a fatal blow to the Russian export and import economy. Even if Turkey supports the rebels, supports HTS, and participates in the war, this is why it is difficult for Russia to touch Turkey. In such a situation, support for the Syrian government will inevitably decrease. Therefore, it is very likely that Russia already knew about Turkey’s betrayal in advance. They may warn on the surface, but the reality is that Russia, which is at war with Ukraine, cannot do anything more. This is also why President Putin is obsessed with the Northern Sea Route. The Northern Sea Route can serve as an alternative route to the route that crosses the Black Sea to the Bosphorus. Meanwhile, since Russia has drastically reduced its support, it will be difficult for Iran to further strengthen its support for Syria. It already supports Hezbollah in Lebanon and cannot increase its support for Syria because it is supporting Hamas and the Houthis in Yemen.
If Iran, which is already a big player, reduces its support for Syria,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go bankrupt economically. In the meantime, Iran’s support will inevitably weaken, and if terrorist groups and rebels supported by Turkey, one of NATO’s big players, attack, there is no way for the Syrian government to win. In the end, Damascus fell, and Hezbollah and Hamas in Lebanon were threatened from behind. At this point, Hezbollah and Hamas are surrounded from the north and south. Hezbollah has been able to survive until now because of the support from the Assad government in Syria and Iran through Syria, but now that has been cut off, it is expected that Hezbollah and Hamas will have difficulty holding out as long as before. Hezbollah now has about 40 days left. With a 60-day ceasefire signed with Israel, it is time to think deeply about what to do for the next 40 days. If they fail to resolve this, Hezbollah and Hamas are likely to meet a miserable f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