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인도 현지르포]인도 사람은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 마음이 다르다?

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 기사입력 2024/12/10 [13:05]

인도 제1관광지 타지마할.     ©브레이크뉴스

 

만약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의 마음이 다르다면? 외부인의 시각에서 인도 사람을 지적할 때 주로 이런 어구를 인용한다. 

 

그런데 솔직히 누구에게나 물어보자.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의 마음(기분)이 다른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 아닌가. 하지만 한국에서는 위선적인 사람이나, ‘겉과 속’ 마음이 다른 사람을 비판할 때 이를 사용하고 있다. 아직도 남아있는 조선 5백년 유교 문화, 실질보다 명분을 더 중요시하는 문화적 요소 때문일 것이다. 

 

“It depends on situation”. 이만큼 인도 사람의 의사결정 구조를 잘 나타낸 것은 없을 듯하다. 그들도 실제 이 말을 한다. 약속했던 것이 상황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는 의미다. 

 

실제 인도 사람과 개인 약속을 하면 그날 가봐야 안다. 아니면 늦게 오기 십상이다. 처음 인도에서 생활하면서 겪은 문화적 이질감이다. 이해하기 어려웠고 적응하기도 쉽지 않았다. 불가피하게 새로운 상황이 생겨서 약속을 연기하자는 언급을 몇 번 들으면 “원래 인도인은 이래?”라는 부정적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한 번은 나도 약간은 고의적으로 약속을 파기해 봤는데, 신기하게도 그들은 아무일 없다는 듯이 받아들이면서 그냥 넘어간다. 몇 번 약속을 어기면 신의 없는 사람으로 여기는 한국의 문화와는 정말 다르다.

 

놀랍게도 인도 생활을 더 해가면서 이런 문화가 이해가 되기 시작한다. 학교는 미래의 인재를 키워내는 곳이다. 지식적인 측면과 함께 사회규범이나 문화현상도 함께 가르친다. 

 

인도 학교의 기본은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다. 학교에는 서로 다른 종교-민족-언어 등이 뒤섞여 있다. 서로를 배려하고 이해하는 문화가 선행되지 않고는 학교가 유지되기 어렵다.

 

인도에는 통일된 민법이 없다. 외국 사람이 이 얘기를 들으면 그 이유가 궁금해지는데, 예를 들어 무슬림과 힌두교는 결혼이나 이혼 등의 풍습이 완전히 다르다. 그러기 때문에 같은 법의 잣대로 판단하지 못한다. 작은 사회인 학교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많다.

 

인도의 학생들은 수업 결석이 확연히 많은 편이다. 인도 다수인 힌두교는 축제가 많다.  허나 개인적으로 축제를 즐기는 가정 문화도 조금씩 달라 부모가 자녀에게 그냥 수업을 빠지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보통 학교는 이를 이해하고 넘어간다. 심지어 생일 잔치한다고 학교에 오지 않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상상 불가다.

 

서로 다른 종교로 인해 기념하는 날짜도 모두 다르다. 결혼식 등 가정의 주요 의례도 종교나 지역에 따라 상이하다. 교통 인프라가 아직은 열악한 인도에서 어디 시골이라도 다녀오면 또 며칠씩 수업에 빠진다. 인도 학교는 이런 상황들을 문제시하지 않는다. 

 

학교 내에서도 모습은 비슷하다. 학생들 대부분 정규수업 외에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어떠한 교내 행사를 앞두고 자체 연습을 많이 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다고 하자. 그러면 학생들은 수업 보다 이 활동에 먼저 참여한다. 자연스럽게 정규 수업에 오지 않는다. 

 

하여튼 그때 그때 상황에 맞추어서 학습이 진행되고, 교내 활동이 이루어진다. 우리의 학교 시스템과는 많이 다르다. 수업에 빠지는 것, 즉 결석은 우리에겐 약간 성역 같은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어떤 일이 있어도 결석은 해서는 안된다는 함의다. 그러나 인도에서는 교사나 학부모, 학생들 모두 결석에 관대한 것 같다.

 

약속이나 정확한 일처리를 중요시하는 한국사람 입장에서는 복장이 터질 일이다. 인도 사람들의 상황 의존은 이렇게 학교 다닐 때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필자/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칼럼니스트. 한국어 교원. 오랜 공직생활을 마치고 지금은 인도 뉴델리의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브레이크뉴스

학교에서 형성된 규범은 성인이 되어 사회생활을 하면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인도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은 잘 안다. 중요한 계약을 앞두고 상호 간에 정말 많은 문서를 작성하고 확인한다. 추후 분쟁이 생겼을 때 논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해도 분쟁이 발생하면 법적 쟁송으로 가는데 해결하는 과정이 오래 걸린다고 한다. 당사자가 상황 변화를 주장하고 반박하는 지난한 과정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대법원까지 올라가서 해결되는데 몇 10년이 걸린 경우도 있다니. 소송 당사자가 죽은 뒤에 판결을 받아 보는 우스꽝스러운 일까지 발생하기도 했다고 들었다.

 

각자의 문화는 옳고 그름이 없다. 상호 존중되어야 한다. 인도에서는 서로 다름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상황 의존적 문화가 생긴 것인데, 상대방에게 악용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이다. cowboy1616@naver.com

 

*필자/조석용

 

본지 인도 통신원. 칼럼니스트. 한국어 교원. 오랜 공직생활을 마치고 지금은 인도 뉴델리의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Indian local report] Do Indians have different feelings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bathroom?

-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newspaper

 

What if their feelings are different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bathroom? When criticizing Indians from an outsider’s perspective, this phrase is often cited.

But honestly, let’s ask anyone. Isn’t it a very natural phenomenon that their feelings (moods) are different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bathroom? However, in Korea, this phrase is used to criticize hypocritical people or people who have different ‘outward and inner’ feelings. This may be due to the 500-year-old Confucian culture of Joseon that still remains, and the cultural element that values ​​justification over substance.

“It depends on situation.” There seems to be no other phrase that describes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of Indians better than this. They actually say this. It means that promises made change frequ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If you make a personal promise with an Indian, you have to go that day to find out. Otherwise, they are likely to be late. This is the cultural alienation I experienced when I first lived in India.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it was not easy to adapt. When you hear the inevitable new situation and the mention of postponing a promise a few times, you can’t help but have negative thoughts like “Are Indians like this?”

Once, I intentionally broke a promise, but strangely enough, they just accepted it as if nothing happened and let it go. It’s really different from the Korean culture where breaking a promise a few times is considered unfaithful.

Surprisingly, as I live in India more, I begin to understand this culture. Schools are places where future talents are nurtured. They teach social norms and cultural phenomena along with the intellectual aspect.

The basic principle of Indian schools is to respect diversity. Different religions, ethnicities, and languages ​​are mixed in schools. It is difficult for schools to maintain a culture of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for each other without first developing it.

India does not have a unified civil code. When foreigners hear this, they wonder why. For example, Muslims and Hindus have completely different customs, such as marriage and divorce. That’s why they cannot judge by the same standards of law. Even in small societies like schools, there are many similar situations.

Indian students are clearly more absent from class. Hinduism, the majority in India, has many festivals. However, since the family culture of enjoying festivals is slightly different, there are cases where parents make their children skip classes. Usually, schools understand this and let it go. Some even do not come to school because they are having a birthday party. This is unimaginable in Korea.

The dates of celebration are different because of different religions. Major family ceremonies, such as weddings, also differ depending on religion or region. In India, wher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still poor, if you visit a rural area, you will miss classes for several days. Indian schools do not consider these situations a problem.

The situation is similar within schools. Most students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outside of regular classes. Let's say there is a situation where they need to practice a lot on their own before a school event. Then, students participate in this activity before class. Naturally, they do not come to regular classes.

In any case, learning i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t the time, and school activities are carried out. It is very different from our school system. Missing classes, or absences, are considered a bit like a sanctuary to us. The implication is that no matter what happens, you should not be absent. However, in India,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ll seem to be tolerant of absences.

For Koreans who value promises and punctuality, this is a huge problem. I think Indians’ dependence on situations is naturally formed while they are in school.

The norms formed at school continue to be maintained even as adults and in society. People who do business in India know this well. Before an important contract, they write and confirm a lot of documents with each other. This is to prevent controversy in case of a dispute later.

Even if this is done, if a dispute arises, it is said that the legal dispute resolution process takes a long time. This is because the parties continue the arduous process of claiming and refuting changes in the situation. It is so bad that it took 10 years to resolve even after going all the way to the Supreme Court. I have even heard of ridiculous cases where the parties to a lawsuit received the verdict after they died.

There is no right or wrong in each culture. They should be mutually respected. In India, the dependence on situations was formed out of consideration for each other’s differences, and I hope that it is not exploited by the other party. cowboy1616@naver.com

 

*Author/Jo Seok-yong

 

India correspondent for this paper. Columnist. Korean language teacher. After a long career in public service, he now teaches Korean at a school in New Delhi, India.

-Taj Mahal, the No. 1 tourist destination in India.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