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김은숙·이우정 등 방송작가, 윤석열 탄핵 촉구..“지금 당장 구속·수사·처벌하라”

13일 성명 발표, “미치광이 캐릭터..엔딩은 단 하나뿐”

박동제 기자 | 기사입력 2024/12/13 [17:37]

▲ 한국방송작가협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성명  © 브레이크뉴스



브레이크뉴스 박동제 기자= 한국방송작가협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성명을 발표했다.

 

한국방송작가협회는 13일 ‘내란의 수괴 윤석열을 탄핵하고 구속 수사 처벌하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번 성명에는 ‘더 글로리’ 김은숙을 비롯해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 박해영, ‘경성크리처’ 강은경, ‘열혈사제’ 박재범, ‘셀러브리티’ 김이영, ‘응답하라’ 시리즈 이우정, ‘피지컬: 100’ 강숙경, ‘흑백요리사’ 모은설 작가 등이 참여했다.

 

한국방송작가협회는 “프로그램을 준비하던 방송작가들은 눈과 귀를 의심했다. 작가들의 원고 속에서조차 오래전에 사라진, 그리하여 이미 사어(死語)가 되다시피 한 단어들, 간혹 역사 다큐멘터리를 준비할 때나 꺼내보던 낡은 자료화면 속 까마득한 옛 장면들을 현실에서 목도하다니. 지금 내가 쓰고 있는 재기발랄하고 상상력 넘치는 원고와의 간극과 비현실성이 극명하게 다가왔고, 현실을 일순간에 수십 년 전의 과거로 되돌린 폭거와 만행에 충격을 받았다”며 “과거의 유물인 줄만 알았던 것들이 현실에 튀어나와 모든 것을 압도하는 그 기이한 경험에 방송작가들 역시 분노하고 전율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받는 충격과 공포 역시 지대할진대, 이른바 ‘K-콘텐츠’의 최일선에 있는 방송작가들에게 더욱 현실적인 공포로 다가온 것은 포고령 속의 한 줄이었다. ‘모든 언론과 출판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 혹은 선배들의 경험담을 통해 과거 군사독재정권 시절의 방송이 어떠했는지를 알고 있다”며 “제작의 전 과정이 속속들이 검열되고 방송 원고 한 줄, 출연자의 말 한마디가 문제가 돼 고초를 겪거나 방송 현장에서 사라졌음을 안다. ‘그런 시대가 있었다고?’ 옛날이야기를 듣듯, 박물관 속 박제된 유물로 치부했던 일들이 우리의 현실로 다가올 수도 있음을 그날 우리는 얼어붙듯 체감해야 했다. 군홧발에 머리를 짓밟히듯, 생생한 충격으로”라고 전했다.

 

또 “세계에 한국의 위상과 국격을 드높인, 이른바 ‘K-컬처’가 과거 암흑의 시대를 뚫고 꽃피워낸 소중한 문화적 결실임을 모두가 안다. 아시아를 넘어 세계에서 칭송받는, 수십 년에 걸쳐 우리 국민이 피와 땀, 눈물로 쟁취하고 지켜낸 민주주의와 인권과 평화, 인류 보편적 가치라는 탄탄한 토대가 있었기에 가능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것이 우리 방송작가들이, 아울러 국민들이 우리의 문화적 성취에 자부심을 갖는 이유”라며 “세계가 다 아는 그 자명한 진실을 모르는 단 한 사람이, 12월 3일 그 한순간으로 국민적 자부심과 국격을 바닥에 패대기치고 K-콘텐츠의 위상과 성취를 뿌리째 흔들어 놓았음은 두말할 것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제 우리는 윤석열의 대국민 담화를 보며 또 한 번 전율했다. 한때나마 이 나라의 대통령이었던 자가 일말의 이성과 양심, 수치심조차 없는 자였다니. 그저 적개심과 광기, 시대착오적인 망상으로 가득 찬 자였다니. 그는 아직 민의의 전당인 국회를 짓밟던 그날의 망상에서 깨지 않았다. 국민을 향해 겨눴던 총을 손에서 내려놓지 않았다. 그가 앞으로 얼마나 더한 악행을 저질러 나라 전체를 나락으로 떨어뜨릴지 알 수 없다”며 “이런 ‘미치광이 캐릭터’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막장 드라마의 엔딩은 단 하나뿐이다. 그자는 더는 단 한 순간도 이 나라의 대통령이어서는 안 된다. 그자를 단 하루도 그 엄중하고 막중한 자리에 놓아두어서는 안 된다. 지금 당장 윤석열을 탄핵하고 구속·수사·처벌하라”고 덧붙였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밤 늦게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선포 3시간여 지난 뒤 국회에서 만장일치로 계엄 해제 결의안이 통과됐고, 계엄 선언 6시간 만에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열고 계엄을 해제했다. 비상계엄 선포는 1979년 10·26 사건(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 이후 45년 만의 일로, 1987년 민주화 이후로는 초유의 사태다.

 

오는 14일 국회 본회의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2차 표결이 진행된다. 국회는 앞서 지난 7일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재적의원 300명 중 195명만 표결에 참여해 의결 정족수 미달로 무산됐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Kim Eun-sook, Lee Woo-jung, and other writers call for the impeachment of Yoon Seok-yeol... "Arrest, investigate, and punish him immediately"

 

On the 13th, through a statement, "A crazy character... There is only one ending"

 

Break News Park Dong-jae reporter = The Korea Broadcasting Writers Association released a statement calling for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Yoon Seok-yeol.

 

On the 13th, the Korea Broadcasting Writers Association released a statement titled, "Impeach, arrest, investigate, and punish the leader of the civil war, Yoon Seok-yeol." This statement was participated by Kim Eun-sook of 'The Glory', Park Hae-young of the drama 'My Liberation Diary', Kang Eun-kyung of 'Gyeongseong Creature', Park Jae-beom of 'The Fiery Priest', Kim Yi-young of 'Celebrity', Lee Woo-jung of the 'Reply' series, Kang Sook-kyung of 'Physical: 100', and Mo Eun-seol of 'Black and White Chef'.

 

The Korea Broadcasting Writers Association said, "The writers who were preparing the program doubted their eyes and ears. Even in the writers’ manuscripts, words that had long since disappeared and were already dead words, and scenes from the distant past that I occasionally took out and looked at when preparing historical documentaries, I was witnessing them in real life. The gap and unreality between the lively and imaginative manuscripts I was writing now and the atrocities and atrocities that instantly turned reality back to the past of several decades ago came to me clearly. “The writers were also furious and trembled at the bizarre experience of things that I had thought were relics of the past popping up in reality and overwhelming everything,” he said.

 

He continued, “As a citizen, the shock and fear I felt was also great, but for the writers on the front lines of the so-called ‘K-content,’ the one line in the proclamation that came as an even more realistic fear was ‘All media and publications are under the control of martial law.’ We know what broadcasting was like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era through history or the experiences of our seniors,” he said. “We know that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was thoroughly censored, and that even a single line of the script or a single word from a guest could cause problems and lead to suffering or disappearance from the broadcasting scene. ‘There was such a time?’ We had to experience that day, frozen in our bones, that things that we had treated as stuffed relics in a museum, as if we were hearing an old story, could come to us as our reality. It was a vivid shock, like having our heads trampled by military boots.” He also said, “Everyone knows that the so-called ‘K-culture,’ which has raised Korea’s status and national prestige in the world, is a precious cultural fruit that has blossomed through the dark ages of the past. It is self-evident that i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solid foundation of democracy, human rights, peace, and universal human values ​​that our people have fought for and protected with blood, sweat, and tears over several decades, which are praised not only in Asia but also around the world. That is why our writers and the people are proud of our cultural achievements,” he sai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single person who does not know the self-evident truth known to the world, in a single moment on December 3, has crushed our national pride and national dignity to the ground and shaken the status and achievements of K-content to the core.” He added, “Yesterday, we were horrified once again while watching Yoon Seok-yeol’s address to the nation. The one who was once the president of this country was someone without a shred of reason, conscience, or shame. He was someone filled with hostility, madness, and anachronistic delusions. He has not yet woken up from the delusions of that day when he trampled the National Assembly, the temple of public opinion. He has not put down the gun he pointed at the people. We cannot know how much more evil he will commit in the future and how he will bring the entire country to ruin.” He added, “There is only one ending to a ridiculous drama featuring a protagonist like this ‘crazy character.’ He should not be the president of this country for even a single moment. He should not be allowed to remain in that serious and important position for even a single day. Impeach Yoon Seok-yeol immediately and arrest, investigate, and punish him,” he added.

 

Meanwhile, President Yoon Seok-yeol declared martial law late on the night of the 3rd. About three hours after the declaration, the National Assembly unanimously passed a resolution to lift martial law, and just six hours after the declaration, President Yoon held a cabinet meeting and lifted martial law.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is the first in 45 years since the October 26 Incident (the death of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in 1979, and is an unprecedented event since the democratization in 1987.

 

The second vote on the impeachment motion against President Yoon Seok-yeol will be held at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n the 14th. The National Assembly previously voted on the impeachment motion against President Yoon Seok-yeol at a plenary session on the 7th, but the vote was nullified as only 195 out of 300 members participated in the vote, falling short of the quorum.

 

dj3290@naver.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