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요일 아침을 여는 K-브런치콘서트 우·아·한 포스터 (C) 대전시립연정국악원 |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이 오는 3월 26일 오전 11시, 2025년 기획 시리즈 K-브런치콘서트의 시작을 알리는 첫 공연 '우·아·한(우리의 아침을 여는 한국음악)'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대전국악방송과 공동 기획으로 마련된 무대로, 국악의 대중화와 생활 속 정착을 위해 다양한 시도와 협업을 이어가는 의미 있는 무대다.
특히 전통 국악을 클래식, 재즈 등 현대적인 장르와 결합해 새로운 감성의 한국 창작 음악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은다.
공연의 주인공은 양금 연주자이자 작곡가, 교육자인 윤은화. 전통 양금을 기반으로 현대적 감각을 입힌 그녀는 국악의 표현 영역을 넓혀가는 대표적인 아티스트다.
윤은화는 56현으로 개량한 현금을 통해 기존 국악기보다 넓은 음역대를 확보했으며, 국내 유일의 전자양금을 개발해 루핑과 이펙터 기술을 결합한 독창적 사운드를 창조해왔다.
공연은 윤은화의 음악 세계를 집약한 창작곡들로 구성됐다.
양금, 운라, 가야금, 우두 드럼이 어우러지는 ‘안개의 유희’를 시작으로, 긴장감 넘치는 선율의 ‘흔들리는 숲’, 전통곡 천년만세를 재해석한 ‘신천년만세’까지, 익숙하면서도 새롭게 다가오는 무대가 펼쳐진다.
특히 이번 공연에는 21C 한국음악프로젝트 금상 수상자이자 JTBC <풍류대장> TOP5에 오른 이창현(타악), 진미림(가야금)도 함께 무대에 올라 협업의 깊이를 더할 예정이다.
유한준 대전시립연정국악원장은 “<우·아·한>은 단순한 공연을 넘어 국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무대”라며 “전통의 깊이와 현대적 감성이 만나는 이 시간 속에서, 시민들이 한국 창작 음악의 새로운 흐름을 체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아침을 열어주는 국악의 울림. <우·아·한>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음악을 통해 잠시 머무르고 사유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eon City Yeonjeong Gugak Center, 2025 K-Brunch Concert 'Woo-ah-han' First Stage Opens
Daejeon City Yeonjeong Gugak Center will present 'Woo-ah-han (Korean Music Opening Our Morning)', the first performance to mark the beginning of the 2025 K-Brunch Concert series, at 11:00 AM on March 26.
This performance is a stage jointly planned with Daejeon Gugak Broadcasting, and is a meaningful stage that continues various attempts and collaborations to popularize and establish gugak in everyday life.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present new Korean creative music with a new sensibility by combining traditional gugak with modern genres such as classical and jazz.
The main character of the performance is Eunhwa Yoon, a yanggeum player, composer, and educator. She is a representative artist who broadens the expressive scope of gugak by adding a modern sensibility to the traditional yanggeum.
Yoon Eun-hwa secured a wider range of sounds than existing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through the improved 56-stringed janggeum, and developed the only electronic yanggeum in Korea, creating a unique sound that combines looping and effector technology.
The performance consists of original pieces that encapsulate Yoon Eun-hwa's musical world.
Starting with 'Angi Yuhi', which combines yanggeum, unra, gayageum, and udu drums, the stage unfolds with a familiar yet new approach, starting with 'Shaking Forest' with a tense melody and 'Shincheonyeonmanse', which reinterprets the traditional song Cheonnyeonmanse.
In particular, Lee Chang-hyun (percussion) and Jin Mi-rim (gayageum), who won the gold prize at the 21C Korean Music Project and were ranked in the TOP5 of JTBC's <Pungryu Daejang>, will be on stage to add depth to the collaboration.
Yoo Han-jun, the director of Daejeon Municipal Yeonjeong Gugak Center, said, “<Woo·A·Han> is a stage that goes beyond a simple performance and looks into the present and future of gugak,” and added, “I hope that citizens will experience the new flow of Korean creative music in this time when the depth of tradition and modern sensibility meet.”
The sound of gugak that opens the morning. <Woo·A·Han> will provide a special time to pause and think through music even in the midst of a busy daily life.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대전세종충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