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대전 서구의회, 교육·주거·지역균형 등 주요 현안 담은 건의안 채택

김정환 기자 | 기사입력 2025/03/22 [17:13]

▲ 대전서구의회 최지연 의원 (C) 서구의회 제공


대전 서구의회가 제28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지역 현안과 관련한 7건의 건의안을 채택하며 교육, 주거, 과학기술, 지역균형,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개선과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먼저 최지연 의원(더불어민주당/가수원동, 도안동, 관저1·2동, 기성동)은 도안초등학교 유휴부지를 활용한 학교복합시설 건립을 제안하며, 이 공간이 지역 주민의 문화·여가생활을 지원하는 다목적 공간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최 의원은 특히 도안동은 인구가 많고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은 만큼, 교육부의 복합시설 확대 기조에 맞춰 조속한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대전서구의회 신혜영 의원 (C) 서구의회 제공


신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둔산1·2·3동)은 초등 헌법 교육의 체계화를 제안했다.

 

심 의원은 현재 헌법 교육이 초등학교 교과서에 분산돼 있어 이해도가 낮다는 점을 지적하며, 별도의 헌법 교과서 개발과 체험 중심의 학습 방식 도입을 제안했다.

 

또한 민주시민교육 조례를 통한 제도적 뒷받침과 별도 조례 제정을 통한 관심 확대도 함께 주장했다.

▲ 대전서구의회 박용준 의원 (C) 서구의회 제공


박용준 의원(더불어민주당/둔산1·2·3동)은 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박 의원은 2025년 종료 예정인 특별법의 연장을 포함해 피해자 범위 확대, 등기의 공신력 확보, 임차권 등기 의무화 등 실질적인 예방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세사기의 근본 원인인 정보 비대칭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 대전서구의회 오세길 의원 (C) 서구의회 제공


오세길 의원(국민의힘/변동, 괴정동, 가장동, 내동)은 AI 시대를 대비한 이공계 지원 강화*를 제안했다.

 

연구 환경의 열악함과 인재 유출을 문제로 지적하며, 국가자격제도의 실질적 기능 강화,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장기적 재정 지원 확대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오 의원은 특히 “과학기술에 대한 지원은 국가의 생존과 미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과제이다”라며, 정부의 과감한 결단과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 대전서구의회 서다운 의원 (C) 서구의회 제공


서다운 의원(더불어민주당/용문동, 탄방동, 갈마1·2동)은 충청권의 ‘제2수도권’ 지정과 국정기능 이전을 촉구했다.

 

서 의원은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집무실의 완전 이전, 세종 국가상징구역 법제화, 충청 메가시티 조성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서 의원은 “국가균형발전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책무이다”라며, 충청권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의 결단을 촉구했다.

▲ 대전서구의회 신진미 의원 (C) 서구의회 제공


신진미 의원(더불어민주당/변동, 괴정동, 가장동, 내동)은 탈수급자의 안정적 자립을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신 의원은 자활사업의 실효성 부족과 수급자 재전락 문제를 지적하며, 급여 감축의 단계화, 자활근로 임금 현실화, 직업 교육 강화 등 구조적 개선을 제안했다.

 

▲ 대전서구의회 정인화 의원 (C) 서구의회 제공


서구의회는 또 정인화 의원(국민의힘/월평1·2·3동, 만년동)이 제출한 ‘둔산선사유적지 교육 및 홍보 전시관 건립 건의안’도 채택했다.

 

건의안에서 정 의원은 둔산선사유적지가 구석기부터 청동기 시대까지의 유적이 함께 발견된 국가적으로 중요한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시민들에게 주로 만남의 장소나 휴식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특히 기존의 노후화된 시설을 철거하고, 선사시대의 특성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교육, 체험, 전시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임시회에서 채택된 건의안들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안을 담고 있어, 향후 관련 정책 추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Daejeon Seo-gu Council adopts 6 proposals on major issues including education, housing, and regional balance

 

Daejeon Seo-gu Council adopted 6 proposals related to regional issues at the 1st plenary session of the 288th extraordinary session, calling for improvements and support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ducation, housing, science and technology, regional balance, and welfare.

 

First, Assemblywoman Choi Ji-yeon (Democratic Party of Korea/Gasuwon-dong, Doan-dong, Gwanjeo 1·2-dong, Giseong-dong) proposed building a school complex facility using the idle land of Doan Elementary School, emphasizing that this space could become a multipurpose space that supports the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Assemblywoman Choi stated that Doan-dong in particular needs to be promoted quickly in line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of expanding complex facilities, as it has a large population and high demand for education.

 

Assemblywoman Shin Hye-young (Democratic Party of Korea/Dunsan 1·2·3-dong) proposed systematizing elementary constitutional education.

 

Rep. Shim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constitutional education is dispers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hich leads to low understanding, and proposed the development of a separate constitutional textbook and the introduction of an experience-centered learning method.

 

He also argued for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the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Ordinance and expansion of interest through the enactment of a separate ordinance.

 

Rep. Park Yong-joon (Democratic Party of Korea/Dunsan 1, 2, 3-dong) call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prevent jeonse fraud.

 

On this day, Rep. Park emphasized the urgent need to establish practical preventive measures, including the extension of the special law scheduled to expire in 2025, expanding the scope of victims, securing the credibility of registration, and making leasehold registration mandatory.

 

In particular, he emphasized that the information asymmetry structure, which is the root cause of jeonse fraud, must be improved.

 

Rep. Oh Se-gil (People's Power Party/Byeon-dong, Goejeong-dong, Gajang-dong, Naedong) proposed strengthening support for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 preparation for the AI era*. He pointed out the poor research environment and the drain of talent as problems, and emphasized the need to strengthen the practical func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and expand long-term financial support for basic science research.

 

Rep. Seo Da-woon (Democratic Party of Korea/Yongmun-dong, Tanbang-dong, Galma 1·2-dong) urged the designation of the Chungcheong region as a ‘second metropolitan area’ and the relocation of national government functions.

 

Rep. Seo argued that comprehensive policies, including the complete reloc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Sejong Government Complex and the Presidential Office, the legalization of the Sejong National Symbol District, and the creation of a Chungcheong megacity, are necessary to relieve overcrow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chiev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Lastly, Rep. Shin Jin-mi (Democratic Party of Korea/Byeon-dong, Goejeong-dong, Gajang-dong, Naedong) urged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measures for the stable self-reliance of those who have left welfare benefits.

 

Rep. Shin pointed out the lack of effectiveness of self-reliance projects and the problem of re-falling into welfare benefits, and proposed structural improvements such as phasing out benefit reductions, making self-reliance work wages realistic, and strengthening vocational training.

 

The Seogu Council also adopted the ‘Dunsan Prehistoric Site Education and Promotion Exhibition Hall Construction Proposal’ submitted by Rep. Jeong In-hwa (People’s Power Party/Wolpyeong 1·2·3-dong, Manyeon-dong).

 

In the proposal, Rep. Jeong pointed out that although the Dunsan Prehistoric Site is a nationally important cultural heritage where relics from the Paleolithic to Bronze Ages were discovered together, it is currently mainly perceived by citizens as a meeting place or a resting place, and its historical value is not being fully realized.

 

Rep. Jeong especially emphasized that the existing aging facilities should be demolished and a community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education, experience, and exhibition should be created with a desig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historic era.

 

The proposals adopted at this extraordinary session contain specific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local communities, and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related policies in the future.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대전세종충청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