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용혜인 의원 “고령화가 코로나보다 경제에 더 큰 충격줄 것”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보고서, “한국 저출생·고령화 속도 세계에서 가장 빨라”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 기사입력 2021/07/23 [10:28]

―보고서, 출생률 높이려면 혼외 출생 및 비정형가정 자녀 차별 금지해야    

―용혜인, “정부, 혼인 장려정책에 집착 말아야...차별과 소득불안 없애는 게 먼저”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은 미 싱크탱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EE)보고서를 인용해, “한국의 합계출산율 하락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며 그에 따른 생산인구 감소가 한국 경제에 코로나19 여파보다 더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용혜인 의원은 “정부는 출생률 반등을 목표로 혼인을 장려해온 정책 기조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차별을 없애고 삶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 소득 불안을 줄이고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먼저다. 출생률 반등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라고 역설했다.  ©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는 지난 6월에 한국 기획재정부의 의뢰로 보고서를 작성해 ‘코로나19 대유행의 광범위한 영향: 한국의 재정 전망 및 출산율 전망’ 보고서(The pandemic’s long reach: South Korea’s Fiscal and Fertility Outlook)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한국이 코로나19 대유행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결과 전면적 경제 봉쇄를 피하고 경기부양책을 G20 회원국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로 썼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코로나19에도 정부 순 부채를 GDP 대비 약 1/4로 낮게 유지하는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 재정 상황이 크게 악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코로나19 이전부터 저출생·고령화에 따른 급격한 인구구조 변동을 겪는 중이고 코로나19는 그 변동을 가속화했다. 지난 2020년 한국 합계출산율은 0.84로 사상 최저이다. 

 

이는 G20 국가 중 가장 낮다. 한국은 2010~2020년 사이 출산율이 1.23에서 0.84로 32% 감소했는데 이는 G20 및 주요 국가 중 가장 가파른 감소다. 대표적인 고령화 국가인 일본은 2010~2020년에 출산율 1.38에서 1.35로 2%만 감소했을 뿐이다. 싱가포르는 2010년 출산율이 1.21로 한국보다 낮았으나 2020년에는 한국보다 높은 1.1이다.  

 

보고서는 한국이 현재 속도대로 생산인구가 감소하고 부양비율(total dependency ratio)이 증가하면 경제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한국의 생산인구는 2018년 약 3,760만 명으로 정점을 찍고서 2060년대 초 2천만 명으로 가파르게 떨어질 전망이다. 한국의 부양비율은 2015년에 36.2였는데 이는 생산인구 세 명이 아동이나 노인 등 피부양인구 한 명을 부양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2030년까지 부양비율은 53으로 증가해 생산인구 두 명이 한 명을 부양한다. 2055년 부양비율은 100에 이르는데, 생산인구 한 사람당 한 명을 부양하게 된다. 

 

보고서는 한국에서 출생율이 떨어지는 이유로 ▲고학력 여성의 결혼 기피 ▲여성의 과도한 가사노동 부담 ▲혼인한 부부 외의 가정에서 양육되는 자녀에 대한 법적·사회적 차별 ▲상대적으로 높은 교육비 부담 등을 지적한다. 

 

고등교육을 받은 한국 여성의 비율은 76%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반면 무급 가사노동의 85%를 여성이 수행하며 이는 OECD에서 인도, 일본, 터키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높은 가사노동 부담은 고학력 여성에게 결혼의 매력을 떨어뜨린다. 

 

또 한국은 혼외 출산이 2.3%에 불과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독일은 혼외 출산이 30%가 넘고 미국은 40%에 이르며 덴마크와 스웨덴은 50%가 넘는다. 혼외 출산에 부정적 인식이 강한 한국과 달리 외국은 혼외 출산이 상대적으로 높은 출산율을 유지하는 요인이다. 또 한국은 가구 가처분소득 대비 교육비 지출 비중이 약 14%인데 이는 칠레, 영국과 함께 OECD 최상위권이다. 높은 교육비 지출 부담은 출산을 기피하는 경향으로 이어진다.  

 

한국은 혼외 출산이 2.3%에 불과해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독일은 혼외 출산이 30%가 넘고 미국은 40%에 이르며 덴마크와 스웨덴은 50%가 넘는다. 혼외 출산에 부정적 인식이 강한 한국과 달리 외국은 혼외 출산이 상대적으로 높은 출산율을 유지하는 요인이다.  또 한국은 가구 가처분소득 대비 교육비 지출 비중이 약 14%인데 이는 칠레, 영국과 함께 OECD 최상위권이다.  높은 교육비 지출 부담은 출산을 기피하는 경향으로 이어진다.   ©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한국 정부는 장래인구추계(중위추계)에서 합계 출산율이 2040년까지 1.27로 51% 반등하리라고 전망한다. 현재 일본의 합계출산율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보고서는 쉽지 않다고 지적한다. 다른 나라에서 출산율이 반등한 바 있지만 한국 정부가 기대하는 정도의 반등은 아니기 때문이다. 가령 덴마크는 1983년~2008년 출산율이 1.38에서 1.89로 37% 반등했고, 스웨덴은 1999년~2010년에 1.50에서 1.98로 24% 올랐다. 그러나 이들 국가는 사회안전망, 양육지원, 사회규범 등이 한국과 많이 다르고 한국처럼 낮은 합계출산율을 경험하지도 않았다.  

 

보고서는 한국 정부에 저출생 극복을 위한 조치를 제시한다. 첫째, 비혼인 관계에서 출생한 자녀 및 편부모, 동성부부 등 비정형 가정에서 양육하는 자녀에 대한 법적 차별을 금지하고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외국인 남성과 고학력 한국 여성의 결혼을 포함한 결혼 이민을 장려하고, 국내 장기체류 외국인 자녀에게 실질적 시민권을 부여해야 한다. 이어 단기간에 출생율 반등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보육 및 교육시설의 축소·구조조정을 권고한다.  

 

용혜인 의원은 “출생율 제고가 국가의 최우선 목표일 수는 없다”면서도 “그러나 출생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은 국민의 행복을 저해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를 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용 의원은 “보고서가 지적한 것처럼 동거가구, 동성가구 등 다양한 비정형 가정을 포용하고, 혼외 출생 자녀에 대한 차별을 금지해야 한다”며, “가사노동의 성별 불평등을 해소하려면 남녀 모두 일터에서 일하는 시간이 줄어야 한다. 소득 감소 없이 노동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본소득 도입이 필수”라고 주장했다. 

 

용 의원은 “정부는 출생률 반등을 목표로 혼인을 장려해온 정책 기조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차별을 없애고 삶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 소득 불안을 줄이고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먼저다. 출생률 반등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라고 역설했다. hpf21@naver.com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이다. * Below is the <Full text> of an English article translated from the above article as ‘Google Translate’.

 

Yong Hye-in, citing a US think tank report, “Aging has a bigger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than the coronavirus”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report, “Korea’s low birth rate and aging rate is the fastest in the world”

―Report, in order to increase the birth rate, it is necessary to prohibit discrimination against children born out of wedlock and atypical families.

―Yong Hye-in, “The government should not stick to the marriage promotion policy… Eliminate discrimination and income insecurity first.”

 

According to a report from the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PIEE), a US think tank, Rep. Yong Hye-in of the Basic Income Party said, “Korea’s total fertility rate is falling the fastest in the world, and the resulting decrease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has a bigger impact on the Korean economy than the aftermath of COVID-19. can give,” he said.

 

The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prepared a report commissioned by the Korean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in June and published the report 'The pandemic's long reach: South Korea's Fiscal and Fertility Outlook'. did.

 

The report explained that as a result of South Korea's successful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it avoided a full-scale economic lockdown and used stimulus measures on a relatively small scale compared to G20 member countries. Korea's fiscal situation did not deteriorate significantly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such as keeping the government's net debt low at about one-fourth of GDP despite COVID-19.

 

However, according to the report, Korea has been undergoing rapid demographic changes due to low birthrates and aging since before COVID-19, and COVID-19 has accelerated the change. Korea's total fertility rate in 2020 was 0.84, the lowest on record.

 

This is the lowest among the G20 countries. Korea's fertility rate fell by 32% from 1.23 to 0.84 between 2010 and 2020, the steepest decline among the G20 and major countries. In Japan, a representative aging country, the fertility rate decreased by only 2% from 1.38 to 1.35 between 2010 and 2020. Singapore's fertility rate was 1.21 in 2010, lower than Korea's, but in 2020 it is 1.1, higher than Korea's.

 

The report warns that South Korea's current rate of decline in its productive population and an increase in its total dependency ratio will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economy.

 

The working-age population of Korea is expected to peak at about 37.6 million in 2018 and drop sharply to 20 million in the early 2060s. The dependency ratio in Korea was 36.2 in 2015, which means that three working people support one dependent, such as children or the elderly. However, by 2030, the dependency ratio will increase to 53, so that two working people support one person. In 2055, the dependency ratio will reach 100, which will support one person for each productive population.

 

The report points out the reasons for the falling birth rate in Korea include: ▲ women with higher education avoid marriage; ▲ women's excessive burden of housework; ▲ legal and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children raised by families other than married couples; and ▲ the relatively high burden of education costs.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 with higher education is 76%,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On the other hand, 85% of unpaid housework is performed by women, which is the second highest in the OECD after India, Japan and Turkey. The high burden of housework makes marriage less attractive to highly educated women.

 

In addition, Korea has the lowest rate in the world with only 2.3% of births outside of marriage. In Germany, over 30% of births out of wedlock are high, in the United States at 40% and in Denmark and Sweden over 50%. Unlike Korea, which has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childbirth outside of marriage, in other countries, childbirth outside of marriage is a factor that maintains a relatively high fertility rate. In addition, Korea's education expenditure as a percentage of household disposable income is about 14%, which is the highest in the OECD, along with Chile and the United Kingdom. High educational expenditure burden leads to a tendency to avoid childbirth.

 

The Korean government predicts that the total fertility rate will rebound by 51% to 1.27 by 2040 in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median projection). It is slightly lower than the current total fertility rate in Japan.

 

However, the report points out that it is not easy. This is because the fertility rate has rebounded in other countries, but not as much as the Korean government expects. For example, in Denmark, the fertility rate rebounded 37% from 1.38 to 1.89 from 1983 to 2008, and Sweden rose 24% from 1.50 to 1.98 from 1999 to 2010. However, these countries have very different social safety nets, childcare support, and social norms from Korea, and have not experienced such a low TFR as Korea.

 

The report present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ith measures to overcome the low birth rate. First, legal discrimination against children born in unmarried relationships and children raised by atypical families such as single parents and same-sex couples should be prohibited and social awareness should be improved. Second, marriage immigration, including marriage between foreign men and highly-educated Korean women, should be encouraged, and de facto citizenship should be granted to long-term foreign children living in Korea. Next, since a rebound in the birth rate cannot be expected in the short term, it is recommended to reduce and restructure childcare and educational facilities.

 

Rep. Yong Hye-in said, "Improving the birth rate cannot be the country's top priority, but the factors that lower the birth rate are also factors that impede the happiness of the people. So it has to be corrected,” she said. Rep. Yong said, “As pointed out in the report, various atypical families such as cohabiting households and same-sex households should be embraced, and discrimination against children born out of wedlock should be prohibited. should decrease In order to reduce working hours without reducing income, the introduction of a basic income is essential.”

 

Rep. Yong said, “The government must break away from the policy stance that has encouraged marriage with the goal of rebounding the birth rate. The first priority is to eliminate discrimination and recognize diversity in life, reduce income insecurity and increase economic stability. A rebound in the birth rate will naturally follow.” hpf21@naver.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