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외교 기조가 변곡점에 서 있다. 전임 윤석열 정부가 구축한 한미일 3각 협력 구조 위에 무엇을 더하고 무엇을 고쳐야 할 것인지 아직 선명한 그림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만은 명확하다. 외교의 본령은 정권도 이념도 아닌 국익이어야 하며, 정권이 바뀌었다고 외교의 축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윤석열 정부는 외교의 중심에 한미동맹을 두었다. 이는 단지 군사안보를 위한 선택이 아니라, 경제안보·첨단기술·글로벌 금융 안정·북한 억지 등 생존과 번영의 조건을 미국과 긴밀히 엮어내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었다. IRA, 반도체법, 공급망 회복력 프레임워크 등 국제 질서의 틀 속에서 대한민국이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배경이 바로 이 동맹에 대한 신뢰였다.
![]()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10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25회 국무회의에서 모두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
이재명 정부가 말하는 자주 외교는 동맹을 약화시키는 외톨이 선언이 되어선 안 된다. 오히려 한미 간 신뢰 기반 위에 우리의 목소리를 더 정교하게 얹는 기술로 승화되어야 한다. 반미적 수사나 레토릭은 내부 진영 결집에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외교적 신뢰도를 낮추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다. 현실 정치에서 자주 외교란, 외톨이 외교와는 다르다.
한일 관계 역시 전략적 시야로 봐야 한다. 윤석열 정부는 역사 문제라는 감정을 관리하면서도, 강제징용 해법을 통한 미래 협력의 문을 열었다. 공동 군사훈련, 북한 정보 공유, 반도체 소재 협력 등 구체적 성과도 뒤따랐다. 일본은 여전히 어려운 이웃이지만, 북한과 중국을 상대하기 위해선 손을 잡아야 할 전략적 이웃이기도 하다. 이재명 정부가 다시 과거사 중심으로 외교를 끌고 간다면, 감정에 기반한 연설은 가능해도 실질적인 국익 성과는 만들기 어렵다. 굴욕 외교라는 비난은 쉽지만, 진짜 굴욕은 국제무대에서 외면받는 외교 고립이다.
다만 윤석열 정부가 상대적으로 간과했던 중국·러시아와의 외교 복원 노력은 이재명 정부가 짚어야 할 부분이다. 미·중 전략 경쟁이 첨예한 가운데, 대한민국이 미국 일변도 외교만을 고집할 경우 경제적 불이익과 지역 내 고립감을 키울 수 있다. 중국과의 고위급 소통 채널 복원, 러시아와의 대화 재개는 전략적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보험이다. 물론 이 역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균형이란 이름의 모호함이 아니라 계산된 다변화 전략으로 추진돼야 한다.
대북 외교는 다시 설계되어야 한다. 윤 정부는 힘을 통한 억지에 방점을 두었고, 북한의 도발 억제엔 일정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남북 대화는 전면 중단되었고, 접점은 사라졌다. 이재명 정부가 이를 복원하고자 한다면, 조건 없는 대화 제안보다는 인도적·비정치적 협력부터 재개하는 실용 노선이 바람직하다. 의료, 재해 대응, 이산가족 상봉 같은 분야에서 작은 돌파구를 마련하는 것이 남북관계 재설정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 다만 국제 제재 틀과 한미 공조를 이탈해서는 안 된다.
이제 외교의 질문은 간단해진다. 이재명 정부는 진영의 박수를 택할 것인가, 국익의 길을 택할 것인가. 외교는 정권의 것이 아니라 국가의 것이다. 외교에서 실패는 곧 국민의 생존 기반을 위협한다. 외교를 정권 교체의 부속물로 다루는 순간, 외교 신뢰는 흔들리고 외교의 자산은 사라진다.
![]() ▲필자/ 김정기 .<대한민국과 세계 이야기>의 저자. ©브레이크뉴스 |
새 정부가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첫째, 한미동맹의 신뢰 축을 흔들지 말아야 한다.
둘째, 한일 실용 협력을 정치화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중·러와의 전략적 대화를 재개하되, 미국과의 신뢰를 담보로 삼아야 한다.
넷째, 대북 관계는 감정과 환상이 아닌 실용과 절제된 메시지로 다가서야 한다.
외교는 성과로 말한다. 말이 아니라 결과로 평가받는다. 외교의 본령은 오직 하나, 대한민국의 국익이다. 그것이 흔들릴 때, 나라 전체가 흔들린다는 것을 역사는 이미 수차례 증명해왔다. jeongkeekim@naver.com
*필자/김정기
● 학력
- 뉴욕주립대학교(Stony Brook) 정치학과 수석 졸업
- 마케트대학교(Marquette) 로스쿨 법학박사
- 하버드대학교(Harvard) 케네디스쿨 최고위 과정
- 베이징대학교(Peking) 북한학 연구학자
● 경력
-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 사무총장 (현)
- 유엔 국제전기통신연합 (UN ITU) 가상세계 및 AI 글로벌 이니셔티브 집행위원(현)
- 아시아태평양지방정부네트워크(CityNet) 대표
- 제8대 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13등급 대사)
- 2010 상하이엑스포 대한민국관 정부대표
- 제17대 대선 한나라당 이명박 대통령 후보 국제위원장
- 제20대 대선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 정치개혁 공약 총괄
- 제21대 대선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 외교고문
- 자유한국당 오세훈 당대표 후보 SH전략회의 총괄 및 조직본부 총괄본부장
- 자유한국당 서울시장 예비후보
- 법무법인 대륙아주 중국 총괄 미국변호사
- 난징대학교 국제경제연구소 객좌교수
- 동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석좌교수
- 숭실사이버대학교 총장
● 저서
1. 대학생을 위한 거로영어연구[전 10권](거로출판사)
2. 나는 1%의 가능성에 도전한다(조선일보사)
3.<한국형 협상의 법칙> 저자.
4.<대한민국과 세계 이야기>의 저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lay Column: What I Want from the Lee Jae-myung Government and the People! - 10] The Essence of Diplomacy is National Interest
- Columnist Kim Jeong-gi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Lee Jae-myung government, the diplomatic tone has been at a turning point. There is still no clear picture of what to add and what to fix on top of the triangular cooperation structure between Korea, the US, and Japan established by the former Yoon Seok-yeol government. However, one thing is clear. The essence of diplomacy should be national interest, not the regime or ideology, and the axis of diplomacy should not be shaken just because the regime has changed.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has placed the Korea-US alliance at the center of diplomacy. This was not just a choice for military security, but a strategic judgment to closely link the conditions for survival and prosperity, such as economic security, advanced technology, global financial stability, and deterrence of North Korea, with the US. The background that allowed the Republic of Korea to speak ou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international order, such as the IRA, the Semiconductor Act, and the Supply Chain Resilience Framework, was trust in this alliance.
The independent diplomacy that the Lee Jae-myung government is talking about should not be a solitary declaration that weakens the alliance. Rather, it should be sublimated into a technique that more precisely places our voice on the foundation of trust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ti-American rhetoric or rhetoric may help unite internal factions, but it will come back as a boomerang that will lower Korea’s diplomatic credibil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real politics, independent diplomacy is different from solitary diplomacy.
The Korea-Japan relationship should also be viewed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while managing emotions over historical issues, opened the door to future cooperation through the resolution of forced labor. Specific achievements followed, such as joint military training, information sharing on North Korea, and cooperation on semiconductor materials. Japan is still a difficult neighbor, but it is also a strategic neighbor that we must join hands with in order to deal with North Korea and China. If the Lee Jae-myung government once again focuses on diplomacy centered on the past, it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tangible national interests, although it will be possible to make emotional speeches. It is easy to criticize it as humiliating diplomacy, but the real humiliation is diplomatic isolation from the international stage.
However, the efforts to restore diplomacy with China and Russia, which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relatively overlooked, are something that the Lee Jae-myung government should address. In the midst of the intens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f South Korea insists on diplomacy that is unilaterally oriented toward the US, it could face economic disadvantages and a sense of isolation in the region. Restoring high-level communication channels with China and resuming dialogue with Russia are the minimum insurance for securing strategic autonomy. Of course, this too should be pursued as a calculated diversification strategy, not as an ambiguous balance based on the ROK-US alliance.
Diplomacy toward North Korea should be redesigned. The Yoon government focused on deterrence through force and achieved some results in suppressing North Korea’s provocations. However, inter-Korean dialogue has been completely suspended, and points of contact have disappeared. If the Lee Jae-myung government wants to restore this, a pragmatic approach that resumes humanitarian and non-political cooperation rather than unconditional proposals for dialogue is desirable. Making small breakthroughs in areas such as medical care, disaster response, and reunions of separated families could be the first step toward resetting inter-Korean relations. However, it should not deviate from the international sanctions framework and ROK-US cooperation.
The question of diplomacy has become simple. Will the Lee Jae-myung government choose the applause of the camp or the path of national interest? Diplomacy belongs to the state, not the regime. Failure in diplomacy threatens the survival of the people. The moment diplomacy is treated as an accessory to regime change, diplomatic trust will waver and diplomatic assets will disappear.
The new government has a clear task to do.
First, it must not shake the axis of trust in the ROK-US alliance.
Second, it must not politicize practical cooperation between ROK and Japan.
Third, it must resume strategic dialogue with China and Russia, but with trust with the US as collateral.
Fourth, relations with North Korea must be approached with practicality and restrained messages, not emotions and illusions.
Diplomacy speaks of performance. It is evaluated by results, not words. The essence of diplomacy is only one: the national interest of the Republic of Korea. History has already proven many times that when it wavers, the entire country will waver. jeongkeekim@naver.com
*Author/Kim Jeong-gi
● Education
- Graduated from Stony Brook University,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with honors
- Doctor of Law, Marquette University School of Law
- Harvard Kennedy School, Senior Program
- Peking University, North Korean Studies Research Scholar
● Career
- Secretary General of the World Smart Cities Organization (WeGO) (current)
- Executive Committee Member of the Virtual World and AI Global Initiative of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UN ITU) (current)
- Representative of the Asia-Pacific Local Government Network (CityNet)
- 8th Consul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13th Ambassador)
- Government Representative of the Republic of Korea Pavilion at the 2010 Shanghai Expo
- Chairman of the International Affairs Committee of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Grand National Party, Lee Myung-bak
- General Manager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People Power Party, Yoon Seok-yeol
- Foreign Affairs Advisor of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People Power Party, Kim Moon-soo
- Liberty Korea Party Oh Se-hoon, candidate for party leader, SH Strategy Conference, General Manager and Organization Headquarters General Manager
- Liberty Korea Party Seoul Mayor Candidate
- Law Firm Continental Aju, General Manager of China, American Lawyer
- Visiting Professor, Nanjing University International Economic Research Institute
-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Distinguished Professor
- President, Soongsil Cyber University
● Books
1. Georo English Studies for College Students [10 Volumes] (Georo Publishing)
2. I Challenge the 1% Possibility (Chosun Ilbo)
3. Author of <The Laws of Korean Negotiation>.
4. Author of <The 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