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진정 민주공화국인가? 헌법 제1조 1항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 규정하고, 2항은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명시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정말 국민에게 있는가? 아니면 선거의 심판도, 법적 책임도 피한 채 권력을 전유하고 있는, 무책임한 실세들의 손에 들어가 있는가?
오늘 우리가 직시해야 할 대한민국의 구조적 위기는 검찰, 언론, 그리고 586 운동권이라는 삼두 권력의 결탁에 있다. 이들은 서로를 감싸며 권력을 재생산하고 있으며, 국민이 맡긴 민주적 통제장치를 비웃고 있다. 이들을 자의적으로 감시자라 부르지만, 실상은 국민 위에 군림하는 비선 권력이자 정치의 사령부다.
![]() ▲ 검찰청사. ©브레이크뉴스 |
○ 검찰, 정의를 가장한 권력의 칼날
검찰은 수사권과 기소권이라는 막강한 국가 권력을 독점하면서도, 오히려 정치적 중립이라는 명분으로 감시받기를 거부해 왔다. 문제는 이 권력이 국민을 위한 정의 실현보다도, 조직의 이해관계와 권력의 유지를 우선한다는 데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문재인 정부 시절 검언유착 의혹과,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벌어진 전 정권 사정 드라이브다. 진영이 바뀌었지만, 검찰의 행태는 변하지 않았다. 권력의 칼날은 정권을 향하는 듯하지만, 실상은 그들 스스로를 통제하려는 정치권 전반을 겨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정치인이 먼지털기 수사의 대상이 되었고, 언론 플레이를 통해 여론재판을 유도했다.
이러한 무책임한 권력 남용은 더 이상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 이제는 국회가 나서야 한다. 검사 징계 특별법을 제정해, 정치적 중립을 위반하거나 피의사실을 흘린 검찰들에게 면직 등 실질적 책임을 묻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검찰도 공무원이며, 공무원은 헌법과 국민 앞에 책임지는 존재다.
○ 언론, 감시자를 가장한 조작자
언론은 민주주의의 등불이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 한국 언론은 정보의 전달자가 아니라, 여론 조작의 설계자가 되고 있다. 단독보도라는 이름의 피의사실 공표, 취재원 보호라는 명분의 익명 보도는 검찰과 유착된 정치공작의 도구로 전락했다.
2017년 대선 직후, 어느 유력 정치인의 가족이 연루된 ‘황당한 의혹’이 일간지 1면에 실렸다. 이후 수사 결과 무혐의로 결론 났지만, 그 정치인은 다시 정치 전면에 나서지 못했다. 그 보도가 인생을 끝장낸 것이다. 누가 책임졌는가? 아무도 아니다. 기자도, 언론사도, 보도 심의 위원회도 면죄부를 줬다.
우리는 이제 표현의 자유라는 이름으로 진실을 파괴하는 행태에 맞서야 한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강력하게 도입해야 한다. 악의적 보도나 의도적 허위보도에 대해서는 손해액의 수십 배에 달하는 배상책임을 물려야 한다. 언론의 자유는 책임과 함께 갈 때만 보호될 수 있다. 미국, 독일, 영국 등 주요 민주국가들에서 이미 그렇게 하고 있다.
○ 586 운동권, 민주화의 신화를 가장한 기득권 세력
우파 보수 권력을 지탱하는 검찰과 언론이라는 양날의 칼날 사이에는, 또 하나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있다. 바로 좌파 진보 권력을 지탱하는 586 운동권이다. 이들은 1980~90년대 민주화를 외쳤던 세대다. 그러나 세월은 흘렀고, 이제 그들은 청년이 아닌 기득권이 되었다.
문제는 이들이 여전히 민주화 공신이라는 도덕적 면허증을 들고, 정치, 사법, 언론, 교육, 노동, 시민사회 전반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586은 지난 30년간 정당, 청와대, 국회는 물론, 전교조, 민노총, 언노련, 심지어 사법부와 헌법재판소, 선관위까지 장악했다. 그들은 이념보다 기득권 연장에 집중하며, 개혁은커녕 변화를 가로막고 있다.
586 세대는 역사에 남을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명예로운 퇴장, 자발적 해체, 그리고 후배 세대에의 권력 이양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구시대적 이념에 집착하고, 자신들의 위선을 덮는 데만 급급하다면, 결국 역사 앞에 심판받게 될 것이다.
이제 국민이 주인이 되는 진짜 민주주의로 나아가야 한다
정치 권력은 선거로 심판받는다. 그러나 왜 검찰은, 언론은, 운동권은 그 책임에서 예외인가? 왜 이들은 권력을 휘두르면서도 법적·도덕적 통제를 받지 않는가? 이런 체제가 지속된다면, 누가 대통령이 되어도, 어떤 정권이 들어서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바로 설 수 없다.
우리는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계속 기득권의 사령부가 조종하는 정치 쇼에 속아 넘어갈 것인가? 아니면 진정한 국민의 주권, 국민이 중심인 민주주의를 회복할 것인가?
정치의 본질은 책임이다. 그리고 책임이 없는 권력은 곧 독재다. 지금은 새로운 시대를 여는 정치의 용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이 다시 출발하려면, 이 무책임한 권력 삼각축부터 해체해야 한다.
결론은 명확하다. 사령부를 폭파하라. 그것이 대한민국을 구하는 길이다. jeongkeekim@naver.com
*필자/김정기
![]() ▲필자/ 김정기 <대한민국과 세계 이야기>의 저자. ©브레이크뉴스 |
● 학력
- 뉴욕주립대학교(Stony Brook) 정치학과 수석 졸업
- 마케트대학교(Marquette) 로스쿨 법학박사
- 하버드대학교(Harvard) 케네디스쿨 최고위 과정
- 베이징대학교(Peking) 북한학 연구학자
● 경력
-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 사무총장 (현)
- 유엔 국제전기통신연합 (UN ITU) 가상세계 및 AI 글로벌 이니셔티브 집행위원(현)
- 아시아태평양지방정부네트워크(CityNet) 대표
- 제8대 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13등급 대사)
- 2010 상하이엑스포 대한민국관 정부대표
- 제17대 대선 한나라당 이명박 대통령 후보 국제위원장
- 제20대 대선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 정치개혁 공약 총괄
- 제21대 대선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 외교고문
- 자유한국당 오세훈 당대표 후보 SH전략회의 총괄 및 조직본부 총괄본부장
- 자유한국당 서울시장 예비후보
- 법무법인 대륙아주 중국 총괄 미국변호사
- 난징대학교 국제경제연구소 객좌교수
- 동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석좌교수
- 숭실사이버대학교 총장
● 저서
1. 대학생을 위한 거로영어연구[전 10권](거로출판사)
2. 나는 1%의 가능성에 도전한다(조선일보사)
3.<한국형 협상의 법칙> 저자.
4.<대한민국과 세계 이야기>의 저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Blow up the headquarters!" - The three-way cartel of power that threatens democracy in South Korea
- Columnist Kim Jeong-gi
Is South Korea truly a democratic republic? Article 1,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South Korea is a democratic republic," and Section 2 states that "sovereignty resides in the people, and all state authority emanates from the people." However, today, we cannot help but ask. Does South Korea's sovereignty truly reside in the people? Or is it in the hands of irresponsible power holders who are monopolizing power while avoiding the judgment of elections and legal responsibility?
The structural crisis in South Korea that we must face today lies in the collusion of the three powers: the prosecution, the media, and the 586 movement. They are protecting each other and reproducing power, and they are mocking the democratic control mechanism entrusted to them by the people. They are arbitrarily called watchdogs, but in reality, they are a secret power that reigns over the people and a political command center.
○ Prosecutors, the blade of power disguised as justice
While the prosecution monopolizes the powerful state power of the right to investigate and prosecute, it has refused to be monitored under the pretext of political neutrality. The problem is that this power prioritizes the organization’s interests and the maintenance of power over the realization of justice for the people.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 suspicion of collusion between the prosecution and the press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the previous regime’s investigation drive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The camp has changed, but the prosecution’s behavior has not changed. The blade of power seems to be aimed at the regime, but in reality, it is aimed at the entire political world that is trying to control itself. In the process, numerous politicians have become the target of a dust-up investigation and have induced public opinion trials through media play.
Such irresponsible abuse of power should no longer be tolerated. Now, the National Assembly must step up. It must enact a special law on disciplinary action against prosecutors and establish a mechanism to hold prosecutors who violate political neutrality or leak facts of a case accountable, such as dismissal. Prosecutors are also public servants, and public servants are responsible to the Constitution and the people.
○ Media, Manipulators Disguised as Watchdogs
The media should be the light of democracy. However, the Korean media is now becoming the architect of public opinion manipulation, not the conveyer of information. The announcement of facts in the name of exclusive reporting and anonymous reporting under the pretext of protecting sources have degenerated into tools of political manipulation in collusion with the prosecution.
Immediately after the 2017 presidential election, a ‘ridiculous suspicion’ involving the family of a certain influential politician was published on the front page of a daily newspaper. Although the investigation concluded that he was not guilty, the politician was unable to return to the forefront of politics. That report ended his life. Who was responsible? No one. The reporter, the media company, and the press review committee all gave him a free pass.
We must now stand up against the behavior that destroys the truth in the name of freedom of expression. We must strongly introduce a punitive damages system. Malicious reporting or intentional false reporting must be subject to compensation liability that is tens of times the amount of damages. Freedom of the press can only be protected when accompanied by responsibility. Major democratic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are already doing so.
○ 586 movement, vested interests disguised as a myth of democratization
Between the double-edged sword of the prosecution and the media that support the right-wing conservative power, there is another invisible hand. It is the 586 movement that supports the left-wing progressive power. They are the generation that called for democratization in the 1980s and 1990s. However, time has passed, and now they are not young people but vested interests.
The problem is that they still hold the moral license of being contributors to democracy and are deeply rooted in politics, the judiciary, the press, education, labor, and civil society. Over the past 30 years, the 586 have taken control of political parties, the Blue House, the National Assembly,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the Korean Federation of Trade Unions, and even the judiciar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They focus more on extending vested interests than on ideology, and are blocking change, let alone reform.
The 586 generation can have a chance to be remembered in history. It is an honorable retirement, voluntary dissolution, and the transfer of power to the next generation. However, if they are obsessed with old-fashioned ideologies and are only eager to cover up their hypocrisy, they will eventually be judged by history.
Now we must move toward a true democracy where the people are the masters.
Political power is judged through elections. But why are the prosecution, the media, and the activist community exempt from that responsibility? Why are they not subject to legal and moral control while wielding power? If this system continues, no matter who becomes president or what regime comes into power, democracy in the Republic of Korea cannot be established.
We are at a crossroads. Will we continue to be fooled by the political show controlled by the vested interests? Or will we restore true sovereignty of the people, democracy centered on the people?
The essence of politics is responsibility. And power without responsibility is dictatorship. Now is the time for the courage of politics to open a new era. If South Korea is to start again, this irresponsible power triangle must be dismantled.
The conclusion is clear. Blow up the headquarters. That is the way to save South Korea. jeongkeekim@naver.com
*Author/Kim Jeong-gi
● Education
- Graduated from Stony Brook University,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with honors
- Doctor of Law, Marquette University School of Law
- Harvard Kennedy School, Senior Program
- Peking University, North Korean Studies Research Scholar
● Career
- Secretary General of the World Smart Cities Organization (WeGO) (current)
- Executive Committee Member of the Virtual World and AI Global Initiative of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UN ITU) (current)
- Representative of the Asia-Pacific Local Government Network (CityNet)
- 8th Consul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13th Ambassador)
- Government Representative of the Republic of Korea Pavilion at the 2010 Shanghai Expo
- Chairman of the International Affairs Committee of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Grand National Party, Lee Myung-bak
- General Manager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People Power Party, Yoon Seok-yeol
- Foreign Affairs Advisor of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People Power Party, Kim Moon-soo
- Liberty Korea Party Oh Se-hoon, candidate for party leader, SH Strategy Conference, General Manager and Organization Headquarters General Manager
- Liberty Korea Party Seoul Mayor Candidate
- Law Firm Continental Aju, General Manager of China, American Lawyer
- Visiting Professor, Nanjing University International Economic Research Institute
-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Distinguished Professor
- President, Soongsil Cyber University
● Books
1. Georo English Studies for College Students [10 Volumes] (Georo Publishing)
2. I Challenge the 1% Possibility (Chosun Ilbo)
3. Author of <The Laws of Korean Negotiation>
4. Author of <The 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