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헤지라 이전까지 무함마드의 생애

정길선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24/12/10 [00:37]

▲ 정길선 박사     ©브레이크뉴스

619년 충실한 조력자였던 아내 카디자와 백부 아브 탈리브가 죽자 무함마드에게는 더 큰 어려움이 닥쳐왔다. 이제 메카에는 무함마드를 보호해 줄 충분한 능력을 가진 무슬림이 아무도 없었다. 이에 대한 유일한 대안은 메카를 떠나는 것이었다. 처음에 무함마드는 거처를 마련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으려고 이웃 도시 타이프(al-taif)로 갔다. 그러나 그것은 참담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 도시 사람들은 돌팔매질을 하며 무함마드가 떠날 것을 요구했다. 깊은 밤 돌팔매질을 피해 홀로 포도밭에 엎드린 무함마드는 알라에게 기도를 올렸다. 

 

“저는 당신께 제 힘의 약함, 능력의 결핍, 사람들의 눈에 비치는 제 지위의 낮음을 호소합니다. 당신께서는 약한 자의 주이시며 또 저의 주이십니다. 당신께서는 저를 누구에게 맡기시려고 하십니까? 저를 곁눈으로 보는 먼 곳 사람들입니까? 그러면 저를 맡고 있던 적에게 말입니까? …… 저는 당신의 영광에서 위안을 구합니다. 당신 이외는 어떤 힘도 없습니다.”

 

메카에서의 종교적인 박해는 갈수록 심화되었다. 사태가 악화되자 620년 여름 무함마드와 무슬림들은 하즈(Haj : 대순례) 도중 야스리브(Yathrib)에서 온 6명의 사람들을 만나 예언자 무함마드가 그곳으로 이주할 가능성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야스리브는 비옥한 오아시스의 작은 도시로 메카에서 북쪽으로 351km 떨어진 곳에 있었다. 주민들은 주로 다신교(pagan)의 아라비아 인들이었으나 유대인들도 많았다. 유대인들은 인종적, 문화적으로 이웃 아라비아 인들과 큰 차이가 없었고 오직 종교로만 구별되었다. 그들은 이곳 오아시스에서 가장 먼저 농업을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0년 동안 오아시스 주변에서는 많은 전쟁이 있었다. 618년경에는 모든 부족이 연루된 전쟁도 있었다. 오아시스의 좁은 영역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공공질서가 유지되어야 했지만 이를 위해서는 분쟁이 발생했을 때 권위를 가지고 판결 해 줄 한 사람이 필요했다. 야스리브 아라비아 인들은 유대인들과 접촉하면서 영감을 받은 종교지도자의 개념에 익숙해지게 되어 있었다. 심지어 메시아에 대한 기대도 생겨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이들은 무함마드의 주장을 종교적인 차원에서 받아들이고 현지인보다는 외부인인 무함마드가 공평한 중재자로서의 역할에 더 적합하다고 여긴 듯하다.

 

이러한 메카와 타이프에서의 고난 속에서 무함마드의 신앙심은 더욱 깊게 자리했고, 6명의 야스리브 순례자들이 무함마드의 설교에 감명을 받아 그의 개종하여 돌아갔고 621년에는 개종한 6명 중에서 5명이 7명의 사람들을 데려와 모두 12명이 무함마드에 의해 개종되었다. 중요 부족들을 대표하는 야스리브의 12인은 아카바 계곡(al-‘Aqaba)에서 무함마드를 만나 그를 예언자로 받아들이고 그에게 복종하며, 절도, 간통, 유아살인 등의 죄를 범하지 않기로 하는 의사를 전달했다. 이른바 ‘제1 아카바 서약(the first Pledge of al-‘Aqaba)’으로 외부 전도의 첫 시작으로 판단된다. 무함마드는 야스리브에 대표를 보내 야스리브의 내부 정치 상황을 살피는 등 신중한 태도로 임했다. 그리고 622년 6월의 대순례 기간에는 남자 73명과 여자 2명으로 구성된 그 도시의 대표들의 두 번째 서약을 함으로써 대부분 무슬림으로 개종했다. 

 

두 번째 서약에서 야스리브는 무함마드를 위해 싸울 것도 서약했고 예언자와 그의 추종자들이 자신들의 도시로 이주할 것을 권했다. 첫 계시가 있은 지 13년 만에 신흥 종교의 외부 전도가 성공한 사례로 나타나고 있다. 야스리브에서는 메시아를 고대하던 유대인들이 이교도(pagan) 동포들에게 그러한 이주를 주선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메카의 쿠라이시 부족은 무함마드가 언젠가는 자신들을 위협하는 세력이 될 것을 짐작하고 그에 대한 대대적인 감시를 감행했다. 무함마드는 이러한 쿠라이시 부족의 감시에서 벗어나 메디나로 이주할 것을 결심하였다. 무함마드는 200여 명의 추종자들과 함께 쿠라이시 가(家)의 감시를 피해 조용히 메디나로 들어가도록 허락했다. 그 자신은 그들에 이어 622년 9월 24일 어머니의 고향인 야스리브에 도착했다.

 

예언자와 그 추종자들이 메카에서 야스리브, 혹은 메디나로 이주한 사건을 아랍어로 히즈라(Hijrah) 또는 헤지라(Hegira)라고 하는데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이주(移住)’이다. 그로부터 17년 후 칼리파 우마르(Umar)는 헤지라가 발생했던 622년 7월 16일을 이슬람 시대의 공식적인 시작 시점으로 지정했다. 이후 야스리브는 단순히 도시를 의미하는 단어인 ‘알 마디나(al-Madinah)’, 즉 마디나(Madinah) 또는 메디나(Medina)로 불리게 되었다.

 

무슬림들은 헤지라를 무함마드의 예언자로서의 생애에서 가장 극적인 순간으로 여긴다. 이것은 이슬람이 부족적 성격에서 벗어나 다른 민족과 공동체를 이루어 모든 아라비아를 움마(Umma, 이슬람 공동체)로 묶는 계기로 삼아 세계종교로 뻗어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던 것이다. 무함마드는 정치적인 견지에서 혈연적 가문의 지배층에 대항해 피지배층과의 갈등해소를 내세웠다. 사회 저변의 하층민에게는 신 앞에서 인간이 평등하다는 종교적 윤리관을 갖고 사회개혁을 요구했다. 예언자 무함마드가 메카에서 이슬람을 처음 전파할 때는 도덕의 타락에 대한 예언자로서 순수 종교적 입장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메카 주민 대다수의 지지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 메디나로 이주하면서 그는 곧바로 이슬람 체계를 확립하고 신의 주권을 대행하는 섭정자로서 메디나 전체를 대표하는 정치지도자가 되었다. 그러나 당면한 문제는 내부적 갈등과 메카를 상대로 한 힘겨운 싸움이었다. 이슬람교 창시자인 예언자 무함마드는 당대 새로운 종교운동의 지도자로서, 정치인으로서, 용감한 군대의 지도자이기도 하다. 그는 오늘날까지 민족과 인종을 초월한 이슬람 생활 규범의 원리를 만들었다. 그는 인류의 정신사에 큰 업적을 남긴 성인으로 추앙 받고 있다. 

lukybaby7@gmail.com

 

*필자/ 정길선.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Muhammad's Life Before the Hegira

 

Jeong Gil-seon Columnist

 

When his faithful helpers, wife Khadijah and uncle Abdul Talib, died in 619, Muhammad faced even greater difficulties. Now there was no Muslim in Mecca who had the ability to protect him. The only alternative was to leave Mecca. At first, Muhammad went to the neighboring city of Taif to find a place to live. However, this turned out to be disastrous. The people of the city hurled stones at him and demanded that he leave. In the dead of night, Muhammad, alone in a vineyard to avoid the hurling, prayed to Allah.

 

“I appeal to you for my weakness, my lack of ability, and my lowly position in the eyes of men. You are the Lord of the weak and my Lord. To whom will you entrust me? To those far away who look at me sideways? Or to the enemy who has been in charge of me? … … I seek solace in your glory. There is no power but you.”

 

Religious persecution in Mecca was becoming increasingly severe. As the situation worsened, in the summer of 620, Muhammad and the Muslims met with six men from Yathrib during the Haj (Great Pilgrimage) and began discussing the possibility of the Prophet Muhammad migrating there. Yathrib was a small city in a fertile oasis, 351 km north of Mecca. The inhabitants were mainly pagan Arabians, but there were also many Jews. The Jew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ir Arabian neighbors racially or culturally, and were distinguished only by their religion. They seem to have been the first to start farming in this oasis.

 

There had been many wars around the oasis over the past 100 years. One war involved all the tribes around 618. In order to live in the narrow territory of the oasis, a certain level of public order had to be maintained, but this required one person to make an authoritative judgment when disputes arose. The Yathrib Arabs had become accustomed to the concept of a religious leader inspired by their contact with the Jews. They even had expectations of a Messiah. Therefore, they seemed to have accepted Muhammad's claims in a religious sense and considered Muhammad, an outsider rather than a local, to be more suitable as an impartial mediator.

 

In the midst of these hardships in Mecca and Taif, Muhammad's faith was deepened, and six Yathrib pilgrims were impressed by Muhammad's preaching and returned converted to him, and in 621, five of the six converted brought seven others, making a total of twelve people converted by Muhammad. The twelve men of Yathrib, representing important tribes, met Muhammad in the Valley of Aqaba (al-‘Aqaba) and conveyed their intention to accept him as a prophet, obey him, and refrain from committing sins such as theft, adultery, and infanticide. This so-called ‘first Pledge of al-‘Aqaba’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step toward external evangelism. Muhammad sent representatives to Yathrib to observe the internal political situation of Yathrib, and he approached it cautiously. Then, during the great pilgrimage in June 622, the representatives of the city, consisting of 73 men and 2 women, made a second pledge, and most of them converted to Islam. In the second pledge, Yathrib pledged to fight for Muhammad and encouraged the Prophet and his followers to migrate to their city. This is an example of successful external evangelism of a new religion 13 years after the first revelation. In Yathrib, Jews who were waiting for the Messiah were arranging such migration for their pagan compatriots. Meanwhile, the Quraysh tribe in Mecca suspected that Muhammad would one day become a threat to them and carried out extensive surveillance of him. Muhammad decided to escape the surveillance of the Quraysh tribe and migrate to Medina. Muhammad allowed about 200 followers to enter Medina quietly, avoiding the surveillance of the Quraysh family. He himself followed them and arrived in Yathrib, his mother's hometown, on September 24, 622. The migration of the Prophet and his followers from Mecca to Yathrib or Medina is called Hijrah or Hegira in Arabic, which literally means 'migration'. Seventeen years later, Caliph Umar designated July 16, 622, the date of the Hegira, as the official beginning of the Islamic era. Since then, Yathrib has been called simply the city, al-Madinah, or Madinah or Medina. Muslims regard the Hegira as the most dramatic moment in Muhammad’s life as a prophet. It was the moment when Islam broke away from its tribal nature and formed a community with other peoples, uniting all of Arabia into the Umma (Islamic community),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it to expand into a world religion. From a political standpoint, Muhammad advocated resolving conflicts with the ruling class against the ruling class of bloodlines. He demanded social reform from the lower classes of society based on the religious ethics of equality of all people before God. When Prophet Muhammad first preached Islam in Mecca, he acted from a purely religious standpoint as a prophet against moral corruption.

 

However, he failed to gain the support of the majority of the Meccan people. Upon moving to Medina, he immediately established the Islamic system and became a political leader representing the entire Medina as a regent representing the sovereignty of God. However, the immediate problem was internal conflict and a difficult fight against Mecca. Prophet Muhammad, the founder of Islam, was the leader of a new religious movement of his time, a politician, and a courageous military leader. He created the principles of Islamic life that transcend nationality and race to this day. He is revered as a saint who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intellectual history of mankind.

노바토포스 회원, 역사학자, 고고인류학자, 칼럼니스트,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유라시아 고고인류학연구소 연구교수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